[서울문화투데이 이지완 기자] 다변화된 사회 속 단 한가지의 페르소나만으로는 살아갈 수 없는 때다. 최근 쉽게 접해볼 수 있는 메타버스, 가상현실은 단 한가지의 자아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자아를 보다 쉽게 구축할 수 있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에게 어떤 새로운 시각을 열어줄까.
▲<정영호 시리즈>에서 정영호(가상예술가) 페르소나 영상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포스트 제공)
인사동 KOTE에서 오는 11월 13일까지 열리는 2022 MIVA(Meta-Identity for Virtual Artists) 프로젝트 쇼케이스 《Somewhere over there》은 메타버스 속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 멀티 페르소나, 부캐 현상을 주목하고 이를 활용해 새로운 세계의 확장을 선보이는 전시다. 쇼케이스 형식의 전시는 메타버스 공간 및 인사동 KOTE 오프라인 공간에서 펼쳐진다.
이번 전시는 2022 MIVA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기획됐으며, 이 프로젝트는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메타버스 예술활동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다. 프로젝트 기획에는 구동현, 김동한, 김준서, 김세은, 김현주 ex-media, 정찬민, 조영각, 차유나 작가가 참여했다. 중국 듀크 쿤샨대 최정은 교수가 비평을 맡았고, cha’s nest(차유나, 이상훈), SMIT VCAR 랩(최유주, 김양은)이 기술 지원을 했다.
《Somewhere over there》은 오프라인과 메타버스 공간에서 펼치는 전시로, 가상 예술가와 실제 예술가들의 협업 형식의 쇼케이스다. 전시에는 총 13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이중 실제로 이 세계에 존재하는 예술가는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한 예술가 구동현, 김동한, 김세은, 김준서, 김현주 ex-media, 조영각, 정찬민, 차유나 총 8인이고, 5인의 예술가 서민서, 이이삭, 유성하, 신매체, 정영호는 가상으로 존재하는 가상 예술가다.
▲<No one Knows>에서 유성하(가상예술가) 페르소나 영상 (사진=MIVA 프로젝트 기획 제공)
"Somewhere Over There" Exhibition: A Collaborative Showcase Featuring 8 Real-Life Artists and 5 Virtual Artists